스가랴 14장 12절-21절 (여호와께 성결 - 2025.08.22.금)
<아침묵상> 2025년 8월 22일 금요일
본문 : 스가랴 14장 12절~21절
제목 : 여호와께 성결
1. 스가랴는 여호와의 날에 예루살렘을 치던 모든 열국에 임할 재앙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12). 그들이 제 발로 서 있는 동안 살이 썩고, 눈과 혀가 입 안에서 썩을 것이며(12), 큰 혼란과 공포가 일어나 그들은 서로를 치게 될 것입니다(13). 탐욕을 위해 사용했던 몸과 음란을 위해 보았던 눈, 교만을 위해 놀렸던 혀가 한 순간에 썩는 것은 그들이 생명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었음을 드러냅니다. 오늘 나의 몸과 눈과 혀는 어디를 향하고 있습니까? 생명을 가꾸는 데 쓰이고 있습니까, 아니면 보이지 않는 부패의 길을 걷고 있습니까.
2. 모든 역사의 종착점은 결국 예배입니다. 어제의 원수들이었던 열국의 남은 자들이 이제 만군의 여호와께 경배하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순례의 길을 떠납니다(16). 그들은 구원과 공급의 절기인 초막절을 함께 지키며, 여호와만이 온 땅의 주권자이심을 인정하게 됩니다. 예배는 특정 민족의 종교적 선택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의 모든 피조물이 따라야 할 보편적 질서가 됩니다. 예배의 자리에 나아오지 않는 것은 생명의 근원이신 하나님으로부터 단절되는 것, 곧 영적 가뭄을 자초하는 행위입니다(17). 나의 예배는 삶의 여러 선택지 중 하나가 아니라, 모든 창조 세계에 아로 새겨진 가장 본질적인 행위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3. 하나님의 임재는 성과 속의 경계를 허물고 모든 일상을 거룩하게 만듭니다. 이전에는 대제사장의 이마에만 새겨졌던 ‘여호와께 성결’이라는 문구가 이제 전쟁에 쓰이던 말방울에까지 기록됩니다(20). 성전의 모든 솥이 제단의 주발처럼 거룩해져 누구나 제사에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21). 이는 거룩이 특정한 장소나 사람에게 독점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가장 비근하고 세속적인 영역까지 스며드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우리의 일터, 가정, 거리의 소음까지도 하나님의 거룩이 새겨져야 할 공간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